728x90

분류 전체보기 146

오븐스댁 네드워그 레이아웃

다다익선이라고 많으면 많은데로 좋은점이 있겠지. 하다못해 티밍이나, 대역폭이라도 늘리겠지, 여하튼 오븐스댁에서는 컨트롤러와 컴퓨트 노드에 최소 네트워크 카드를 2개로 제안하고 있고 나머지 블록,오브젝트는 한개면돼 라고 하는것이 그림에 모두 담겨져 있 그런데 NAT 라고는 하지만 결국 자기들끼리 통신만 하면 되는 것일테니, 버츄얼박스로 하는 나님은 호스트온니모드로 하도록 하겠어 나의 환경에서는 virtualbox 에서 nat 설정 추가하고, 포트포워딩으로 guest vm 22 번에 연결 10.0.0 / NAT network 프로바이더네트워크 / bridge mode controller enp0s3: 설정안함 enp0s8: 10.0.0.11/24 compute enp0s3: 설정안함 enp0s8: 10.0...

IT/LINUX 2019.06.03

오븐스댁 스데인을 설치해봅시다

컨트롤러 노드: 1 프로세서, 4 GB 메모리, 5 GB 스토리지, 1 bridge ,1 NAT Compute 노드: 1 프로세서, 2 GB 메모리, 10 GB 스토리지, 1 bridge, 1 NAT 네트워크 옵션이 2개가 있는데, 1. provider networks 2. self-service networks 먼 차이인지 잘 모르겠다. 공부하다 보면 알게되겠지 특정 릴리즈 이후(아마 피케) 네트워크 노드가 없어졌는데, 누군가는 이렇게 말하더라, 오븐스댁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성능보다, 네트워크 장비의 성능이 뛰어나다보니, 네트웍 부분을 장비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시라.

IT/LINUX 2019.05.30

RHEL7 file system hierarchy

RHEL7 에서는 7 이전에 디렉토리를 / 경로와 구별을 하게 됨. 과거에는 /bin /sbin /lib /lib64 4개를 별도의 공간으로 사용을 했음 뿐만 아니라 별도로 /usr/bin/ /usr/sbin/ /usr/lib/ /usr/lib64 를 별도로 관리했음. 이건 갠적인 추축인데, 이는 용량 낭비(그리 크진않겠지만,의 소지가 있는 것 같아 뭐 물론 분리함으로써 얻게되는 이점도 있겠지만, 어쩌면 혼란을 가중시킬 수 도있는 부분이기도 한데 7 부터는 앞서 말한 디렉토리 경로는 /usr 의 하위에 각각의 디렉토리와 심볼릭링크로 연결되어있어 [root@localhost lib64]# ls -al /|egrep "bin|lib" lrwxrwxrwx. 1 root root 7 Jan 2 2018 bin ..

IT/LINUX 2019.05.22

navigating paths (case-sensitve)

일반적인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test1.txt 과 Test1.txt 는 서로 완벽히 다른 파일로 인식되는데, 그냥 리눅스 특성인줄 알았는데, 파일시스템 특성이네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ext4,ext3,GFS2 등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는데 그에 반해 VFAT[NTFS 이전에 사용하던 파일시스템) 이나 MS의 대표적인 NTFS 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대소문자 상관없이 이름만 같아도 사용할 수 없다네

IT/LINUX 2019.05.22

ouput redriection operators

NUM Channel name Description default connection usage 0 stdin 표준입력 키보드 읽기 전용 1 stdout 표준출력 터미널 쓰기 전용 2 stderr 표준오류 터미널 쓰기 전용 3+ filename 기타 파일 none 읽기 || , && 쓰기 사용법 설명 비고 > file 표준 출력이 파일에 기록 overwrite 됨 >> file 표준 출력이 파일에 쓰이는데, 현재 파일에 덮붙여서 기록 2> file 표준 에러를 파일에 기록 overwrite 됨 2> /dev/null 표준 에러 쓰레기통에 버림 &> file 표준 출력&에러를 하나의 파일에 기록 overwrite 됨 >> file 2>&1 표준 출력 & 에러를 현재 파일에 덮붙여서 기록 표준에러(2)가 >..

IT/LINUX 2019.05.22

running commands as root with sudo

뭣 모를 때는 일반 유저가 su 를 통해 root 권한이 된다. 이렇게만 알고 있었는데, su 는 그저 현재 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의 변환을 위해 사용하는것이고, 다만 디폴트로 특정 계정명을 입력하지 않으면 root 로 변환하려고 한다는 것 뿐. su 와 유사한듯 하지만 sudo 는 루트의 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좀 있는듯 su -c 옵션으로 명령어를 날릴 순 있겠지만 sudo 는 명확하게 root 의 권한으로 허가를 받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좀 다른 듯 sudo 는 그 목적에 맞게 보안이라는 측면을 고민해봐야하는데, 이를 위해서 설정 파일에 대해서 아는 것도 매우 중요 /etc/sudoers 라는 파일에 의해 sudo 설정을 정할 수 있지용 sudo 에 대한 사용 로그는 /..

IT/LINUX 2019.05.22

UID ranges

0 은 모든 권한을 가진 root 가 1-200 은 시스템 유저, 시스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주체 201-999 시스템 유저 이긴한데, 파일시스템 내에 소유한 파일이 없고 제한적인 기능과 권한만 갖고 있는 애들 1000+ 일반적인 사용자 근데 솔직히 별로 안중요함, 젤 중요한건 root = 0 1000+ 일반 사용자구나 정도로 만 인식 UID 바뀌어도 크게 문제될건 없음 0 으로 바꾸지 않는한. 보안이라는 측면에서 UID 를 지멋대로 바꾸는게 좋지는 않음 vi /etc/login.defs 를 통해 설정 변경 가능

IT/LINUX 2019.05.22
728x90